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49

Developing Design Propositions through Research Synthesis 연구합성을 통한 설계제안 개발 David Denyer, David Tranfield and Joan Ernst van Aken Abstract 조직 및 관리 연구 분야는 중요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연구기반을 가지고 있지만, 종종 단편화되고 실무에 대한 관련성이 제한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. 경영진에 대한 설계 과학 접근법은 솔루션 지향 또는 규범적 지식 개발을 위한 더 많은 여지가 그것의 관련성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주장해왔다. 이 논문에서는 이른바 'CIMO-논리'에 이어 설계 제안의 형태로 캐스트된 규범적 지식을 논의하여 설계 제안 개념의 이전 응용 분야를 확장한다. 이 논리는 문제적인 맥락의 조합을 포함하며, 설계 제안은 특정 개입 유형을 제안하여 특정 생성 메커니즘을 통해 의도된 결과(들)를 생성한.. 2021. 4. 20.
스타트업 사업기획(1) 문제의 발견 우리 회사가 해결해야 할 문제를 발견했는가. 사업의 시작을 여기서 시작하지 않으면, 방향을 잃는 경우가 많다. 특별히 해당 문제에 대해 내가 가장 아플 때 문제에 대한 정의를 가장 정확하게 할 수 있다. 그래야 비로소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, 왜 아픈지 등의 고민을 이어갈 수 있고, 고민 해결을 위해 고민하는 우리가 행복한(?) 시간을 보낼 수 있다. 그렇지 않으면 남의 다리가 왜 아픈지 고민하다, 그만 둘 이유를 찾게 된다. 다시, 우리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.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그려보자. 아픈 이유를 날카롭게 파헤쳐 보자. 고객들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, 어떤 표정으로 말하는 지, 어떤 부분에서 가장 괴로워하는 지 등 다양하게 관찰해보자.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해보자. 정말.. 2021. 4. 19.
스마트한 일하기, 협업 기술 회사는 이윤을 내야 하는 곳이고, 그 이윤을 내기 위해 모든 구성원이 함께 업무(task)를 수행한다. 업무란 무엇인가.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 업무는 작업자(Who), 내용(What), 목적(Why), 방법(How), 일정(When), 장소(Where)로 구성된다. Who: 누가 작업할 지를 정확하게 명시한다. 그리고 협업할 사람들과, 확인해야하는 사람들을 함께 명시한다. What: 수행해야할 작업을 정확하게 작성한다. 가급적 애매한 표현보다는, 단기간/시간 내에 수행가능한 수준으로 쪼개어 작성하는 것을 추천한다. Why: 사실 일하다보면, 작업을 요청하면서 이유를 설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도 하다. 닥치고 작업하라는 뉘앙스로 읽힐 수 있는데, 매우 위험한 방식이 아닐 수 없다. 구체적으로 작업의.. 2021. 4. 19.
사업계획서 쓰기 회사의 방향, 이유, 사업 방안 등을 담은 문서를 우리는 사업계획서라 부른다. 창업가들에게 이는 평생 숙제같은 일이 되기도 하지만, 사업계획서의 작성 이유는 첫째, 내 사업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보기 위해서이다. 물론 타인의 요청으로 인해 쓸 일이 더 많겠지만, 기본적인 목적은 내 마음 속 우리 회사를 알아보기 쉽게 정리하는 일이다. 둘째, 내 가족을 위함이다. 3F(Family, Friend, Fool)를 정말 바보로 만들지 않으려면, 그들에게 내 사업을 소개하고 설득해야 한다. 참고로 필자는 세 아이들에게, 아빠의 일이 가치있고 유망하다라고 이야기하였고, 그들로부터 박수를 받은 적이 있다. 최근에는 아내에게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, 직장을 그만두기도 하였다. 세째, 함께 일할 인재를 구하기 위해 사업계획.. 2021. 4. 15.